- Storage location이 가장 낮은 재고 관리 레벨
- 재고 관리하는 조직의 형태
- Valuation Level을 Plant로 관리할 경우 Material Price를 Plant 별로 다르게 설정 가능 (물류가 있는 회사의 경우 특히 Plant 레벨로 설정)
Company Code을 Level로 할 경우 Plant 별로 Material Price 가져갈 수 없음, 단점 多
- Valuation Level은 변경이 불가
- Valuation Class는 Material Type과 GL 어카운트 연동
Material Type과 Valuation Class와 연동, Valuation Class 별로 GL 어카운트(재고 계정) 결정
Material Type은 단순하게, Valuation Class를 여러개로 나눠 관리하는 것이 좋아
- 재고 자산 평가 (Price Control)
표준 단가 or 이동 평균 단가(실시간 변동되며 자동으로 계산됨)
Standard price * 수량
매번 구매할 때 생성되는 이동 평균 단가 * 수량
- $ 250로 구매한 재고 자산
B/S
자산 = 자본 + 부채
자산 증가시 차변
부채 증가시 대변
모든 포스팅은 차변과 대변이 0
- Standard price 사용해서 SAP에서 Moving ave. price 관리해줌
- Standard price를 사용하게 되면 항상 Expenditure from price difference가 있음 (재고 조정 X)
인보이스가 들어왔을 때
재고 자산 조정하여 20
- 보통 구매하는 Material은 Moving Average (ex. 원자재나 상품)
생산하는 자재는 Standard (월 별로 표준 원가 정리하여 입, 출 처리) (ex. 단제품이나 제품)
- 입고 or 출고 일어났을 경우 재고에 변동 사항이 생김
- Material Doc은 수량의 변경, Accounting Doc은 계정과 가격 관리
- 재고 자산이 변경(증가)되는 입고 : Material doc 생성되며 Accounting Doc도 주로 생성
101 구매 오더에 대한 입고
가용 재고
Blocked 재고
QR , 품질 관리 재고
- 재고의 타입 변경 Transfer Postings : 이동령 세 자리에 의해 관리 됨
: 재고 자산의 변동은 없고 Type만 변경
: Material Doc은 생성되나 Accounting Doc은 생성 X
- 수량과 재고자산 변경, MC or AD 생성, QM 생성, 회계 계정 변경, WM(Warehouuse Managmeent), 입고한 전표 생성, 입고 후 입고 noti, PO에 대한 히스토리 업데이트
- 구매 오더 내고 GR 처리 후 계산서 처리, 결과적으로 분개 생성
GR/IR Vendor Input Tax
- 운송 비용
Planned Delivery Costs - PO 내며 아이템과 운송비 정의 , 인보이스 처리 시 자동으로 입력
Unplanned Delivery Costs - PO 낼 때 운송비 발생할 지 몰라 실제 계산서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 , 인보이스 상에서 별도 입력 必
- GR/IR은 항상 0이 되어야 해
- Price Control 여부 Standard Price or Moving Average 냐에 따로 Stock 계정에 IR 16 들어갈 수도 있고, Price Difference 계정 차변에 들어갈 수도 있음
'Procurement (M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contracting (1) | 2024.07.08 |
---|---|
TSCM50_Procurement of Consumable Material (1) | 2024.07.05 |
Procurement of Stock Material-Purchasing (0) | 2024.07.04 |
Master Data (0) | 2024.07.04 |
Procurement Cycle (0) | 202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