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urement (MM)

Procurement Cycle

린앤율맘 2024. 7. 3. 17:38

MM 강의 Overview

 

 

MM에서 Source는 공급업체 

 

 

 

 

 

 

1. Basics of Procurement Process

 

- Client는 Master Data를 가지고 있는 가장 상위 단위의 조직

  업무적인 입장에서는 Corporate Group임

 - Company Code는 재무 회계를 관리하는 가장 작은 조직 단위로 하나의 법인체 (회계적 목적의 조직)

    Client는 그룹사 Company Code는 그룹사 내 달려있는 하나의 독립된 회사

- Plant는 물류적 조직으로 생산, 구매, 독립적 설비 관리, MRP(계획)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주체

  재고자산이 관리되는 조직

- Storage Location은 하나의 Plant 및에서 Stock(재고 수량, Quantity)을 나누는(관리하는) 조직

  자산을 관리해야 할 경우에는 Plant로 관리해야

- Purchasing Organization은 실제 조직과 Mapping하지 않는 것이 좋아, 많으면 많을 수록 관리할 Data가 많아짐, Simple하게 가져가는 것이 좋아. Vendor와 Nego를 하거나 계약을 관리하는 주체

- Purchaing Group은 구매 담당 조직 (구매 담당자 or 구매팀 대표)

  

 

- 하나의 Plant에 하나의 Purchasing Org를 mapping 할 수 있음 (분산 구매)

 

- 하나의 구매 조직에서 Plant 여러개를 통합 관리 (통합 구매)

 

우리는 전략적으로 분산 구매를 할 것인가? 통합 구매를 할 것인가?

 

- 여러 개의 Plant를 하나의 Org로 묶어서 관리 할 수 있음

- SAP 조직의 관리도 

 

- IDES는 SAP의 교육용 시스템

  Plant 1100, 1200, 1400, 1300을 한 개의 PO에서 통합 구매함

 

- 구매부터 조달까지의 일련의 과정 [Procurement]

  1. 구매 요청서 발생 (Purchasing Requisition) 

  2. 공급업체 결정

  3. Vendor Selection

  4. 구매 주문 발행(PO Processing) - 공급(납품) 업체에 어떤 자재 달라

  5.  PO monitoring 

  6.  Goods Receipt - 납품 업체가 발주서에 근거하여 자재 납품하여 입고

  7.  Invoice Verification - 납품 업체가 인보이스 발송 후 Verify

  8.  Payment Processing -  대금 지급

- RFQ는 Request for quotation(견적 요청) 를 통해서도 발주서 생성 가능

 

- PO는 Header Data(품목 상관 없는 데이터) 와 Item Data (품목 상관 데이터)가짐 

- 품목 범주 : 이번 구매는 어떤 구매 프로세스를 탈 지 정의

ME21N : PO 생성

ME22N : 변경

ME23N : 조회

 

- Output : 출력물 (EDI, E-mail) 

 

- 입고 후

   Material Doc : 입고 전표 물류에 발생 

   Accounting Doc : 회계 전표 발생

 

- Stock Material : 생산과 연관된 자재 (Direct Material)

- 이동 유형 (아주 중요) : 회계에 어떻게 전기되느냐가 결정

   101: PO를 통한 창고 입고 

   122: 창고에 입고 받았던 자재 공급사에 반품

 

- 공급(협력)업체가 세금계산서 처리 프로세스 

   Invoice verification : 계산서에 의해 처리된 금액과 발주서, 입고 시 수량 금액과 일치하는 지 확인해야해! 

 

- 발행된 PO를 통해 인보이스는 Reference해 

  계산서의 금액과 수량 일치하는 지 확인하고자 

- PO에서 100 pcs 납품은 50,40,10pcs씩 세 번

- 인보이스 처리 화면

invoice date: 세금계산서 발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