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

FI_AC010

린앤율맘 2024. 5. 13. 14:56

FI_AC010

 

Describe the organizational elements of R/3

Describe the basic settings

 

 

1-1 Enterprise Structure Terminoloy

 

1) Client: Organization Unit 측면의 Client 개념과 System 적인 측면의 Client 개념의 2가지로 나누어서 설명 가능

1-1) Organizational Unit 측면의 Clinet 개념_ 조직 단위 중 최상위 레벨

1-2) System 적인 측면의 Client 개념

       SAP R/3시스템을 각각의 용도에 따라 물리적으로 나누어 놓은 단위

 

 

 

Financial Applications

 

TR (기업의 자금관리 컴포넌트) > CFM 모듈로 Transfer ing

 CM : Cash Mgt (현금 유동성 예측, 단/중기 베이스)

 TM : Treasury Mgt (자금 거래 일으키는, CFM 모듈)

 CBM : Cash Budgeting Management and Forecast (중/장기 현금 유동성 예측)

 MRM : Market Risk Mgt (시장 위험관리, CFM 모듈)

 

FI

 General Ledger Accounting : 계정과목별 금액 베이스 모든 재무 거래 데이터 관리 및 결산하여 재무제표 산출

 Subsidiary Ledgers : A/R, A/P, A/A 관련 보조 원장

 

CO

  Overhead Cost Accounging : CCA + Internal Order

  PC : Product Cost Accounting  (제품 한 단위에 투여되는 비용 계산, 제조원가)

  PA : Profitability Analysis (기업의 수익성 분석_제품, 고객, 시장별, Operating Concern과 매핑)

  PCA : Profit Center Accounting (Profit Center Unit 별로 손익 분석)  

 

  ABC : Activity Based Costing (활동 기준 원가)

 

EC

 전략적 기업 의사 결정 지원(관리 회계적 개념)

EIS

SM :  Strategic Enterprise Mgt

 

 

 

 

Operating Concern: CO의 최상위 단위, 1: N Controling Area(CO에서 비용 계정 수립, 집행, 통제, 배부 하는 Unit),

 

Company Code는 FI의 External한 조직 단위

Business Area는 FI의 Internal한 Accounrting 대표하는 조직 단위로 사업부의 개념, 여러 Company Codes에 걸쳐 있음

 

 

Logistics  물류_SD(판매), MM(원부자재 입고), PP(생산)

 

SD 대표하는 조직이 Sales Organization

Distribution channel 유통 채널과 관련

Distribution Chain이 Divisions(회사가 판매하는 Materials 중 최상위), Plant, Company Code에 Assign 되어 있어

Distribution Chain과 Divisions은 Sales Area(판매 영역)

 

 

 

 

Main FI Unit

1) Extenral Accounting 대표 : Company Code (회사)

2) Internal Accounting 대표 :  Business Area (사업부) 

 

 

 

Company Code

 

- 독립적인 회계의 단위 (The Smallest Element for External Accouting)로 4자리의 Unique한 값으로 구성해야 함

- G/L는 Company Code Level에서 유지 됨

- B/S와 PNL 산출 단위

 

 

 

Currency(BS의 기준)는 Company Code가 생성되는 시점에 배정됨 

 

 

 

 

Q. Company Code가 원래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Copy를 할까?

A. CC0001이 원래 제공됨 (Source Company 코드로 Nation Specific X, International한 계정 과목 소유)

     (Copy한 걸로 우리나라에서 Project하기는 어려움, Nation Specific한 패치 프로그램을 돌려서 Localization)

 

 

- Company Code 없으면 물류 쪽에 데이터가 재무쪽으로 넘어올 수 없음 

- Global Parameters는 Company Code를 어떤식으로 Control할 지에 대한 매개 변수 값, 이 값 역시 Company Code 복사 시에 딸려옴 

 

 

Business Area (사업 영역) 

 

Company Code와 Business Area의 관계_Business Area는 Company Code와 across하게 Assign 됨 

 

 

 

- 계정 과목 표와 GL계정 과목

- 하나의 Client 밑에 한 개의 계정 과목표가 mapping 될 필요 X

 

- Chart of Account는 cross Company Code함 

 

 

1. 변수 값 정의 (껍데기)

2. 변수 값 내에 Value 부여 (의미)

3. Value부여된 변수를 R/3 Objects에 Assign

 

 

 

- Fiscal year variant는 Posting Periods(회계년도 기준값, 결산 구분 년도)을 갖는 Variant

  ex) 우리나라는 12개의 Posting Periods (1월, 2월...12월)

- 13~16월은 Special Posting Period : 12월 연말 결산을 위해 필요, 조정분개용 Posting Period, 필수 X

  (1~12월은 General Posting Period)

- Document Date vs. Posting Date

  ex) 금일 2024년 1월 20일(D.D, 연말결산 끝나지 X ), 2023년 12월말에 전표를 발생시켜야 할 경우 Posint Date는 23년 12월 31일 

         Posting Period는 14월(조정분개2차), 전표 조회는 14월로, 쓰지 않을 경우는 Posting Period는 12월에 기입

 

 

- Year Independent Fiscal Year Variant

 

 1) The Calander Year : 달력상의 월 = FI에서 운영하려는 월 ex) 12월 말 결산 

 2) Non-Calander Year :  달력상의 월 < > FI에서 운영하는 월  ex) 3월 말 결산 

 

 

- Year Shift는 실제로 다음 해 1,2,3월이 Posting Period 10,11,12가 되므로 -1을 해주는 것

 

 

 

- Year-Dependent Fiscal Year Varinat: 년도별로 다른 방식으로 Posting Period를 운영

 

 1) Full Years with different period dates :  매년 다른 P.P의 구분 값을 갖으나 1년 12달 모두 사용

 2) Shorted fiscal year : 일부 월만 사용 ex) 회사 청산 or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