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urement (MM)

Customizing Inventory Mgmt

린앤율맘 2024. 8. 7. 08:56

 

- 추가 Plant 추가해야 하며, Central Purchsing Org 소속임

 

 

- FI에서 Ownership 가지고 있음 

- 주소, COA(계정집), Business Area(사업부), 

  Controlling Area에 Mapping을 함_비용, 원가 분석 위함 

  하나의 Company Code는 반드시 하나의 Controlling Area에 Mapping 되어야 함 (1:1)

- Valuation Area : Plant

   Division Area : 제품군

 

자기만의 용어집을 만들라 

  

 

 

- Purchasing Organization : Purchasing Condition을 결정하는 하나의 조직

                                           : Plant 연결 가능, Company Code도 연결

 

   구매 조직을 통합 or 구매 조직으로 분산으로 혹은 Job의 형태별로 통합, 분산으로 운영할 지를 미리 전략적으로 생각 후 mapping

 

- 재고 자산 평가 레벨 (Company와 동일하게 or Plant와 동일하게 설정 가능, 초기 세팅시_IMG 세팅 이전) 

  일반적으로는 Plant 레벨로

 

 

- Storage Location은 수량만 관리(Plant에 연결된 SL만이 의미가 있어) , Plant에서 가격 관리 

 

- Company Code 밑에 반드시 하나의 Plant 있어야 함 (plant가 여러개의 Company Code에 연결 되는 것 X) 

  Purchasing Org는 Company Code에 물릴건지 Plant에 물릴 건지 선택 가능

 

 

- SD 모듈은 Sales Org(세일 조직), Distribution Channel(유통경로), Division(제품군) 있음 

  세 가지 묶어서 Sales Area

  하나의 Plant 밑에 다수의 Shipping point(출하처_해상, 육상 ) 

 

- WMS 모듈 사용할 경우 Storage Location 밑에 Warehouse numb가 생성

 

- MM과 FI 모듈 

  Valuation 위의 상위는 FI 모듈 

   Plant 아래는 MM 모듈

 

- 새로운 Plant 생성

  Manual하게 생성하는 것은 금기시 됨 (관련된 table, assignment가 Too many)

  Copy 하는 것이 일반적 (0001 시스템 Plant Copy)

 

 

- 새로운 이동 유형 생성 必

  별도의 비용 계정으로 포스팅 위함 

  이동 유형 별로 Dynamic Availability Check 

 

 

- 입고 시에 생성되는 Number의 Rule 

  Transaction Type(Transaction Code별)은 Number Range Group에 연결, Transaction Type은 Transaction Code와 연결

  Group 1 : 50 000 0000 ---

  Group 2 : 49 000 000 ----

-  Accoutnig doc 

 

- 이동 유형 별로 필드 보이게 할 지 여부 관리 가능

   FI에서도 동일한 GL 계정을 위해 필드를 Selection 하는 룰 가져가 

   ex) MM에서 보이게 할 필드는 FI에서도 보이도록 (일치되어야 포스팅 가능)

-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레포트 있음

- 1. 이동 유형별로 GL 계정 넣게 할 지 여부   (Account Control)

  2. 동일한 이동 유형이나 사유 코드는 분리가능  

 

 

- Initial Screen 내 필드 어떤 식으로 관리할 건지

 

- Checking Rule은 Transaction Code 별로 결정 

  Availiabilty Check + Gruop(T-Code: Checking, Material : Group)과 Checking Rule 조합하여 Stock 유형,  입/출고 등 결정 

  이동 유형 별로 에러 or Warning 낼 건 지 등 

 

- 이동명은 엄청 중요 (테스트 必)

- 이동 유형의 세팅 사항

   Movement Type에 따라 Allowed Transaction Code 결정 가능

   

- 이동명에 따라 Account Grouping 도 가능

  취소 이동명 관리 가능 

  QM 관련 

  LIS Statistics 그룹에 관한 부분

 

 

- Delivery Tolerance 관리하는데 Tolerance 안에 포함될 경우 Final Delivery Indicator 찍을 것인지 등 관리 

- 마이너스 재고 허용하게 할 건지 

 

- 이동명은 생성이 아닌 Copy 

 

 

- Plant: Purchasing, Material Planning, Accounting

  Client: Basic

 

- Material Type 별로 Num Range 다르게 설정 가능 

  External, Internal인지도 결정 가능

- Material Master의 총 자릿수는 18 

 

- Material 의 상태 정의 

  특정 Plant 내에서 특정 M은 Block 할 수 있어 

 

- Material의 Filed는 어디에 영향 받는 지? Transaction(생성, 변경) , Procurement indicator, Material Type, Plant, Industry Sector, 다른 요인들 

 보통은 Materail Type 가지고만 컨트롤 하게 해 

 

- Control String: Hide, Display, Req entry, Opt entry  등 

- Filed Referance를 만들고 Material Type에 할당해 

  Material Type 제외하고 모든 Factor의 Control String은 Optional로 하고 Material Type에서 컨트롤 해 

 

 

- Control String의 우선순위

  (-)는 Suppress(Hide) (*) Display (+) Mandatory (.)Optional

 

- Vendor Master의 키는 Account Group

  Internal/External Num결정, Partner role 가용성, Sub-ranges, One-time Vendor 등 세팅

 (Material은 Material Type)

 

- Vendor 마스터는 account group, transaction, P D, A D에 의해 필드가 컨트롤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