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P_Planning Result and Evaluation
- MRP : 생산계획 이용한 생산
1. Net requirements calcultion
2. Lot-size calculation(얼마만큼의 발주?)
3.Define procurement (생산 or 구매?)
4. Scheduling (언제 Order 수행해서 구매 할 지 )
CBP : BOM 이용 X, 과거 소모량, Reorder point, 향후 예측 통한 생산
- MRP에서 Planinng File Entry이후 계획 수행하면 Procurement Proposal(계획 Order) 혹은 MRP Lists 생성됨
- Stock / Requirment List(SR List) vs. MRP List (굉장히 중요한 Report)
자재 마스터 만들고 MRP Plnning 관련 View 만들면 Stock List 생성됨 (현재 재고 몇 개? 향후 재고 몇 개이고 얼마나 들어올 지 등 보여주는)
Planning 한 결과는 MRP List
- Collective List : 필요 PR 데이터 한 번에 볼 수 있음
Product Group 별
Class 별
MRP Controller 별
Supplier에 의해
생산 라인 별
- MRP, SR List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
- SR내에 Navigation Profile 선택 가능
미리 Navigation Profile(Buyer, Kanban, MRP controller, Process Manufacturing..) 을 제작 후 Assign 할 수 있음
- 정보성, 경고성, 에러 메세지 존재 (추가 생성은 불가)
- Planned Order는 구매/생산 결정 전 계획 Order (Material, Quantity, 언제 필요한가에 대한 정보)
Planning의 세 단계 Net. Lot Sizing, Determine Procurement(구매 결정) > DP 전 단계에서의 문서
Planned Order는 반드시 PR or Production Order로 변경되어야 함 ( Collcective Conversion vs Individual Conversion)
- SR 리스트의 또 다른 기능 중 하나는 원하는 MRP 리스트 선택하여 원하는 Doc으로 Convert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