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urement (MM)

CBP_Reorder Point Planning

린앤율맘 2024. 7. 15. 11:46

 

- Reorder Point Planning: Material를 언제 얼마만큼 구매할 지 계획 (생산 계획과는 무관)

  Reorder Point를 어떻게 잡을 것인지 

  최소 재고(Safety Stock) 가 얼마인지 

  Replenishment lead time :   day, 3가지 요소를 가지고 결정

                                               (구매 오더 생성 시간(Custom) + 납기(Material Master) + 입고 Processing Time(Material Master))

  Lot size:  재고 관리 비용  vs. 오더 생성비 비교 , Lost Size가 크다면 재고 주기가 커 (창고가 클 경우) 

               : Size 가 작을 경우 재고 주기가 짧아 (창고가 작을 경우) 

 

- Net Requirements Calculation: 재고가 Reorder Point 밑으로 내려간 경우 재고 시점 계산 

- Forward Scheduling이란 CBP가 가지는 특징

  오늘 필요한 재고가 Reorder Point와 어떠한 지 계산 (MRP 기능이라 칭함)

   

Processing time for purchasing (IMG / Working day)

Planned delivery time (납기 / Material Master /Calender date)

GR processing time (Material Master / Working day)

이 세 가지 다 더해서 Reflenishment lead time (RCT)

- MRP vs. CBP 

  Reorder point planning은 일반적으로 External Requirements 반영 X

  필요시, External Requirements는 Indicator에 입력(MRP Type에) 

               1일 경우 추가 Sales Order는 모두 포함

               2일 경우 Replenshiment Lead Time 에 있는 External Requirements 반영 

- Reorder Point Planning에는 Safety Stock을 감안해야 함

  혹시 Normal 한 프로세스 이외에 재고가 소진될 수 있으므로 

 

- Lot-Size 계산 방법 

- Optimum의 경우 System에서 자동적으로 비교하여 결정

  1. 보관비(Storaging cost) 2. 오더비(Ordering cost)  

- Lot-for-lot : 필요한 재고 만큼만 계획세워 입고시킬 것

  Fixed Lot Size : 업체로부터 구매 요청시 팔레트 단위로 발주를 냄

  Replenish to maximum stock level : 보통 액상 or 벌크로 발주 낼 경우 최대치 

- Periodic Lot-Sizing Procedures : 원하는 기간 동안 필요한 출고양 합산하여 하나의 Order로 처리

                                                     :  Period Length와 MRP 주기 모두 결정해야 함

- Lot Size Rounding

  (Static) Rounding Value(100) 100단위로 Order 프로포즈

  cf. Fixed Lot Size: 항상 팔레트 일 경우에 사용, Flexible하게 단위를 변경하려면 Lot Size Rounding

 

  (Customizing) Rounding Profile : 여러개의 Structure를 가진 Rouding Rule 적용 원할 시에 

  

- Min. Lot Size : 발주 낼 시에 Min은 50으로 하겠음

  Max. Lot Size : 발주 낼 시에 Max는 50으로 하겠음

- 항상 Round이용하여 반올림했으

- Min, Max으로 최소, 최대 Order 관리했음

 

 

Conclu: EOQ (Economic Oreder Quanity) 를 얼마만큼 할 지 고민하여 SAP에 반영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