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 요청서를 어떤 단계로 생성하느냐



- MRP는 생산계획으로 부터 자재 소요 계획
CBP는 과거 소모량으로 부터 자재 소요 계획 세움


- 판매 계획 생성 (Sales Operation Planning) > 수요 계획 > Independent Requirement 생성 (가장 상위 레벨 제품에 대한) (vs. Dependent Requirement ) > Planned Order > Convert > 하위 레벨의 Order는 Dependent requirement (반제품, 원재료 단위) - Reservation > PO

- Plant 레벨 or Plant MRP Area 레벨 (Storage Locations Level 별로 묶어서)
혹은 임가공으로도 MRP 구별 가능
Subcontrcting Level Provision 가공하기 위해 원료를 업체에 보냄 - 업체에 있는 원료 Planning 하도록

- Prerequiesties for Materials Planning
Planning lv 설정 (MRP lv)
Material Master에 MRP View 가 있어야 해
Customizing MRP Plant activate
Plant parameters Plant activate

- Consumption-based planning
Reorder Point Planning 발주를 내는 시점을 Reorder 하는 Point로 잡는 것
Forecast-based
Time-phased 일/월 등의 단위로

- MRP : Dep. Req : A에 대한 생산계획을 만들면 BCD의 계획은 세워져 (A - B,C,D)
CBP : Reorder, Forecast-based, Time-phased로 할 거야

- Include ex.rqmts 1번 : 향후 발생하는 requirements 는 모두 추가해서
2 번 : 발주-입고(Replacement lead time) 안에 있는 발주만 추가

- MRP Type 결정

- Material Master Record네 MRP Data View, Forecast Data View, Purchasing Data View가 있어

- 많은 자재가 동일한 속성을 가질 수 있어, 해당 속성 데이터를 만들어서 Material Master에 연동시키면 Best

- 예를 들어 1000번이라는 Plant에 Material 생성했음. 구매가 불가해져. Material Status 사용해


'Procurement (M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BP_Executing the Planning Run (0) | 2024.07.16 |
|---|---|
| CBP_Reorder Point Planning (1) | 2024.07.15 |
| Procurement of External Services (0) | 2024.07.09 |
| Subcontracting (1) | 2024.07.08 |
| TSCM50_Procurement of Consumable Material (1) | 2024.07.05 |